장구의 기본 구조와 전통적 의미장구는 한국 전통 음악을 대표하는 타악기로, 좌우 비대칭 구조와 다양한 음색을 낼 수 있는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. 기본적으로 통, 가죽, 조임줄, 조임쇠로 구성되어 있으며, 좌측은 북편이라 불러 낮고 묵직한 소리를 내고, 우측은 채편이라 하여 날카롭고 경쾌한 소리를 낸다. 이 양면 구조 덕분에 장구는 단순한 리듬 악기를 넘어, 음악적 선율을 보조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다채로운 기능을 담당한다. 또한 장구는 판소리, 풍물놀이, 산조, 궁중음악 등 거의 모든 전통 음악 장르에서 사용되며, ‘음악의 심장’이라 불릴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. 따라서 장구의 구조는 단순히 소리를 내는 물리적 장치가 아니라, 한국 음악 전통과 문화 정체성을 담아내는 문화적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다. 경..